2019년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무엇이 달라지나- 2019년 10월 17일 이후 할랄제품 보장 시스템은 정부가 주관- 식품, 화장품, 의약품의 할랄과 비할랄 구분이 더욱 뚜렷해질 것□ 인도네시아인의 할랄에 대한 인식〇 할랄(Halal) 인증은 현재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진출한 외국기업, 인도네시아로 수출하고자 하는 기업인들 사이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음.〇 무슬림 인구가 8 7% 이상인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인증은 필수는 아니지만 할랄 인증을 부착한 제품에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의 소비자들은 선호를 보이며, 무슬림이 아닌 소비자더라도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은 깨끗하고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MUI(Majelis Ulama Indonesia, 인도네시아 울라마위원히) 할랄 인증은 무슬림 인구가 절대다수인 국가의 소비자와 바이어들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마크임.- 인도네시아 종교부에서는 2013년에 7개 주요 도시 거주자 764명을 대상으로 할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음.- 할랄 소비에 대한 태도를 묻는 첫 질문에 89% 가 동의한다는 반응을 보였고, 할랄 음식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권리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나타냄.할랄에 대한 인도네시아인의 태도 (단위: %)자료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M내할랄인증발급현황〇 인도네시아의 할랄인증은 MUI인증으로, 타 국가의 할랄 인증보다도 받기가 어려운 제품으로 인지되고 있으며, 해외 기업들도 이 인증은 획득 절차가 까다로운 만큼 공신력이 있다고 판단- 인도네시아로 수출하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 자국의 할랄 인증 기관을 통한 인증 마크를 부착하는 대신 인도네시아 MUI할랄인증을 받아 진행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음.〇 할랄 제품 보장에 관한 법률이 발표된 시점인 2014년 이후 MUI 할랄 인증을 제품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할랄 제품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연도 직전인 2 0 1 8년에는 할랄 인증 등록 기업 수 및 인증 개수 또한 전년대비 2배 내외 증가2010 -2018년 MUI할랄 인증 발급 건수, 기업 및 제품 수(단위 :건수)자료원: LPPOM-MUI(2019.1기준) 〇 인도네시아 MUI 할랄 인증 신청 기업은 2016년 10월 기업에 비해서 224개사 증가한 반면, 외국 주재기업들이 직접 MUI 할랄 인증을 받는 경우는 감소하고 있음.〇 이는 인도네시아로의 진출 기업수가 증가하면서 진출 기업에서 직접 인증을 받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업은 인도네시아 기업으로 인정됨.〇 직접적으로 할랄 MUI 인증을 받은 한국 주재 기업수는 총19개사로, 2년 전과 동일함.2018년 9월 17일 기준 MUI 할랄 인증 신청 기업 수(단위 : 건수)□ 인도네시아 할랄제도, 무엇이 달라지나〇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인증이 필수가 아니며, 할랄은 정부가 아닌 인증 업무를 진행하는 종교기관에서 관장해와 제품의 할랄 여부는 정부에서 통제하지 않고 있음.〇 한편, 2014년 10월에 공포된 할랄 제품 보장에 관한 법률인 인도네시아 법령 2014년 제 33호(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33 Tahun 2014 Tentang Jaminan Produk Halal)이 시행되는 2019년 10월 17일부터 인도네시아에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할랄성(halalness)을 관리하는 권한이 정부에 있을 예정〇 2017년 10월 11일에 제정된 종교부산하할랄제품보장청(BPJPH)이 그실무를 담당할예정이며, 종교부는 이를 총괄하게 됨 .〇 지금까지는 할랄 인증 신청부터 발급까지의 전 과정을 LPPOM-MUI라는 기관에서 수행해왔다면 2019년 10월 17일부터는 LPPOM-MUI는 할랄 감사원 인증 발급, 할랄성(halalness)에 대한 작업, LPH(할랄 감사 기관의) 인허가 작업, 그리고 할랄 제품 보장청(BPJPH)이 의뢰하는 제품의 할랄여부 검사 및 시험을 지원하는 할랄 검사기관(LPH)로서의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임.〇 할랄 인증 신청, 비할랄 제품 등록, 할랄 인증 발급 등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는 할랄 제품 보장청(BPJPH)에서 주 관할 예정임.〇 지금까지는 할랄 인증 신청부터 발급까지의 전 과정을 LPPOM-MUI라는 기관에서 수행해왔다면 2019년 10월 17일부터는 LPPOM-MUI는 할랄 감사원 인증 발급, 할랄성 (halalness)에 대한 작업, LPH(할랄 감사 기관의) 인허가 작업, 그리고 할랄 제품 보장청(BPJPH)이 의뢰하는 제품의 할랄여부 검사 및 시험을 지원하는 할랄 검사기관 (LPH)로서의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임.〇 할랄 인증 신청, 비할랄 제품 등록, 할랄 인증 발급 등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는 할랄 제품 보장청(BPJPH)에서 주관할 예정임.〇 현재는 M내 로고 부착을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2019년 10월 이후에의 식약청 역할에 대해서는 시행령에 규정 예정으로 현재 해당 정부 부처 간 논의 중〇 할랄 보장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7개의 정부부처가 협의하고 있고, 해당 부처 간 의견 조율과정으로 인해 현재까지는 시행령이 발표되지 않았음.인도네시아에서의 현재 할랄 인증 획득 절차자료원 : BPjPH, MUI,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 자료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9-02-16 14:01:53 비지니스 / 경제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9-02-16 14:11:46 경영 / 관리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9-02-16 14:13:17 법률에서 복사 됨]